하나카드, 자영업자 맞춤형 ‘하나 더 소호’ 카드 출시…경비 절감·해외 혜택까지 ‘실속’

하나카드가 전국 550만 자영업자들의 손에 힘을 보탤 새로운 카드 상품을 선보였다. '하나 더 소호' 카드가 그 주인공이다. 이름처럼 ‘하나 더’ 챙겨주는 혜택이 특징이다.

이번에 출시된 ‘하나 더 소호’ 카드는 개인사업자 전용으로, 운영에 필수적인 지출 항목에 대한 실질적인 할인 혜택과 함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카드 혜택은 ‘소호 서비스’와 ‘하나 더 서비스’ 두 가지 축으로 구성된다.

먼저 ‘소호 서비스’는 식자재 마트, 온라인 쇼핑, 주유 등 자영업자에게 필수적인 항목에 대해 5% 청구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여기에 4대 손해보험료, 렌탈·방역 서비스, 통신 요금, 전기·도시가스 등 사업 운영에 지속적으로 소요되는 비용에 대해 3% 청구 할인을 제공해 자영업자들의 고정비 부담을 덜어준다.

소호 우대 서비스가 제공되는 개인사업자 신용카드


이외에도 ‘소호 서비스’는 단순한 할인 혜택을 넘어, 부가세 환급을 보다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편의 기능상권 분석 서비스도 제공해 경영 효율성을 높였다. 해당 할인 혜택은 전월 이용 실적에 따라 최대 월 2만 원까지 제공되며, 부가 서비스는 실적 조건 없이 이용할 수 있다.

‘하나 더 서비스’는 실적 조건이나 할인 한도 제한 없이 국내외 이용에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해외 가맹점 이용 시 2% 청구 할인, 국내 가맹점에서는 0.5% 청구 할인이 적용된다. 또 국내 이용에 대해 2~3개월 무이자 할부도 지원돼, 갑작스러운 자금 수요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하나카드 관계자는 “자영업자 고객의 목소리를 듣고, 그들의 실질적인 경비 절감과 사업 성장을 돕기 위해 ‘하나 더 소호’ 카드를 기획했다”며 “하나금융그룹의 상생금융 철학을 바탕으로 한 자영업자 전용 브랜드 상품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신상품 출시는 자영업 환경이 어려운 가운데, 소상공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맞춤형 금융 상품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하나 더 소호 카드 주요혜택

550만 자영업자의 고정비를 줄여줄 ‘맞춤형 카드’ 등장


“당신의 사업 운영비, 지금보다 줄일 수 있습니다.” 하루가 다르게 오르는 운영비, 자재비, 통신비에 머리가 아픈 자영업자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있다. 하나카드가 내놓은 ‘하나 더 소호’ 카드는 단순한 신용카드가 아닌, 자영업자 맞춤형 금융 지원 도구다. 이제 소비자는 혜택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혜택이 필요한 사람을 중심으로 카드가 설계되는 시대다.

운영비 부담 덜어주는 ‘소호 서비스’ 혜택


‘하나 더 소호’ 카드의 핵심은 명확하다. 바로 자영업자의 고정비와 필수 비용에 대한 실질적 지원이다. ‘소호 서비스’를 통해 식자재마트, 온라인 쇼핑, 주유소에서 5% 청구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이 외에도 렌탈, 방역 서비스, 통신요금, 전기·도시가스 등 운영에 빠질 수 없는 항목에서도 3%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이는 매달 반복되는 고정 지출에 대한 체감 할인으로 이어지며, 장기적으로 큰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컨대 월 60만 원의 운영비 지출이 있다면, 할인만으로도 최대 2만 원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는 계산이다.

여기에 부가세 환급 편의 기능과 상권 분석 서비스는 단순 소비를 넘어 ‘경영’까지 고려한 설계로 눈길을 끈다. 이런 우대 서비스는 전월 실적과 관계없이 제공되기 때문에, 실적 관리에 대한 스트레스 없이도 혜택을 누릴 수 있다.

국내외 가맹점 할인·무이자 할부까지, ‘하나 더 서비스’


해외 직구나 출장, 국내 소비에도 혜택은 이어진다. ‘하나 더 서비스’는 실적 조건이나 할인 한도 없이 해외 가맹점 이용 시 2% 할인, 국내에서는 0.5% 할인이라는 고정 혜택을 제공한다. 특히 해외 소비가 많은 개인사업자에게 실질적인 비용 절감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국내 2~3개월 무이자 할부 서비스를 통해 갑작스러운 자금 압박에도 대처할 수 있는 유연한 결제 시스템을 제공해, 현금 흐름이 불안정한 소상공인에게 적합하다.

결국, ‘하나 더 소호’ 카드는 단순한 결제 수단을 넘어 자영업자의 재정 관리를 돕는 ‘맞춤형 금융 파트너’로 기능한다. 혜택의 스펙트럼이 넓고, 사용조건의 문턱이 낮은 점은 이 카드의 경쟁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